euphoriaO-O

적률생성함수 본문

Statistics/Mathematical Statistics

적률생성함수

euphoria0-0 2020. 2. 1. 18:31

적률생성함수

X를 어떤 h>0에 대해 h<t<h일 때 etX의 기댓값이 존재하는 확률변수라고 하자.

h<t<h에 대해 함수 M(t)=E(etX)X의 적률생성함수(mgf; moment generating function)이라 한다.

 

정리: 적률함수가 같으면 같은 확률분포

XY를 0에 대한 개구간에 존재하는 적률생성함수 MXMY를 갖는 확률변수라고 하자.

임의의 h>0에 대해 t(h,h)일 때 MX(t)=MY(t)인 경우에 한 해 모든 zR에 대해 FX(z)=FY(z)이다.

 

m차 적률

일반적으로 m이 양수이고 M(m)(t)M(t)m차 도함수이면 t에 대해 반복하여 미분함으로써 M(m)(0)=E(Xm)이 된다. 이제 E(Xm)=xmf(x)dx 또는 xxmf(x)이며, 이와 같은 종류의 적분(또는 총합)은 역학에서 적률(moment)라 한다. M(t)E(Xm)(m=1,2,3,)의 값을 생성하기 때문에 적률생성함수라고 한다. 간혹 $E(X^m)$을 분포의 m차 적률 또는 Xm차 적률이라 한다.

 

'Statistics > Mathematical Statis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마코프 부등식  (0) 2020.03.13
연속형 분포  (0) 2020.02.01
이산형 분포  (0) 2020.02.01
상관계수  (0) 2020.02.01
평균과 분산  (0) 2020.02.01
Comments